Copyright (c) 2010 Soongsil University. All Rights Reserved.
기계공학을 공부하는 목적은 기계 또는 기계구조물을 설계하고, 제작하며, 설계하여 제작된 것을 유지보수 및 관리하는 것이다. 이와 같은 과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전공 지식을 쌓아야 한다. 또한 다양한 현장 경험을 통하여 일류 기계공학 엔지니어로 성장 할 수 있다. 기계공학의 대표적인 전문학회인 대한기계학회에서 제시하는 대분류 분야는 재료 및 파괴분야, 동역학 및 제어분야, 생산 및 설계공학분야, 열 및 유체공학분야, 에너지 및 동력공학분야 등이 있다. 공학 분야에서 가장 폭넓은 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진출 분야 또한 가장 다양한 영역을 점유하고 있다.
(1) 수학, 기초과학, 정보기술 및 공학지식의 이해를 통한 문제해결 및 창의적응용 능력 배양
(2) 기계공학 전문지식, 실험실습 및 설계 교육에 의한 실무 및 가치창출 능력 배양
(3) 세계화 사회에서의 의사소통 능력, 공동체 의식 및 문화이해 소양 함양
(4) 봉사를 실천하고 기독교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인성 함양
모든 산업의 근간이 되는 만큼 졸업 후에도 기계, 중공업, 전자, 건설,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.
일반기계기사, 건설기계기사, 공조냉동기계기사, 메카트로닉스기사, 자동차 검사기사, 기계설계기사
성명 | 직위 | 세부전공 | 교수실 전화번호 |
---|---|---|---|
이건복 | 교수 | 자동제어 | 820-0656 |
이 원 | 교수 | 고체역학 | 820-0657 |
유호선 | 교수 | 기계설비, 에너지시스템, 플랜트 | 820-0661 |
서상호 | 교수 | 열유체공학 | 820-0658 |
안정호 | 교수 | CAD/CAM | 820-0659 |
정남용 | 교수 | 재료공학 | 820-0660 |
김진오 | 교수 | 진동 파동 | 820-0662 |
안형준 | 부교수 | 메카트로닉스 | 820-0654 |
이진욱 | 부교수 | 자동차공학 | 820-0929 |
김보현 | 부교수 | 생산공학 | 820-0653 |
이동훈 | 조교수 | 로봇공학 | 828-7020 |
박성훈 | 조교수 | 나노복합체, 기능성표면소재 | 828-7021 |
송기영 | 조교수 | 고체역학 | 820-0651 |
박태현 | 조교수 | 신재생에너지 | 820-066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