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공역량 로드맵이란?
- 전공역량 로드맵은 학과 스스로 수요자(재학생, 졸업생, 산업계 등)의 요구와 학과 교육과정의 불일치 내용을 규명하고
이를 최소화하여 전공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준입니다. - 이를 통해 학과는 소속 학과 학생들에게 분야별 직무수행에 필요한 핵심 전공역량 및 교과목 등을 직접 제시합니다.
- 학생들은 전공역량 로드맵을 기초로 진로 및 취업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나침판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.
2. 전공역량 개발 개요
전공역량 로드맵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.
- 첫째, 내외부 환경분석 및 산업체, 재학생 대상 요구분석 실시
- 둘째, 환경분석 및 요구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학과 인재양성분야의 직업(군)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목표 수립
- 셋째, 학과 인재양성유형과 관련된 직무를 정의하고 정의된 직무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요구되는 전공역량 도출
- 넷째, 도출된 전공역량과 각 교과목과의 연계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맵핑
- 마지막으로, 학생의 진로에 따라 권장하는 단계별 교육과정 로드맵을 작성하고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 개편 계획 작성

3. 전공역량 로드맵 개발서 목차 구성
학문분야 특성화 사업단- 1. 환경분석 및 요구분석
1-1. 외부환경 분석 1-2. 내부환경 분석 1-3. 요구분석 1-4. 시사점 - 2. 학과 인재양성유형 설정 및 교육목표 수립
2-1. 인재양성분야 직업(군) 선정 2-2. 학과 인재양성유형에 따른 교육목표 수립 2-3. 학과 교육목표와 대학 인재상과의 연계성 2-4. 직업(군)별 현장전문가 선정 - 3. 직무 정의 및 전공역량 도출
3-1. 직업(군)별 핵심직무 선정 3-2. 직무정의서 작성 3-3. 직무정의에 따른 전공역량 도출 - 4. 전공역량과 교과목 연계성
- 5. 교육과정 로드맵
5-1. 교육과정 로드맵 5-2. 교육과정 트랙 5-3. 교육과정 개편 계획
|
4. 전공역량 로드맵 개발 실적
학문분야 특성화 사업단년도 | 학과명 |
---|
2016학년도 (2개 학과) | - 인문대학 : 철학과
- 경제통상대학 : 글로벌통상학과
|
2017학년도 (32개 학과 (전공)) | - 인문대 : 기독교, 불문, 사학, 영문, 국문
- 자연대 : 수학, 정보통계보험수리
- 법과대학 : 법학, 국제법무
- 사회대 : 사회복지, 언론홍보, 정보사회, 정치외교, 행정, 평생교육
- 경제통상대 : 경제
- 경영대 : 금융, 벤처, 회계
- 공대 : 기계, 산업공학, 유기신소재, 전기, 화공
- IT대 : 소프트웨어, 전자(IT융합), 컴퓨터
- 독립학부 : 스포츠학부
- 융합전공 : 빅데이터융합전공, 빅데이터컴퓨팅융합전공, 스마트소제제품융합전공,양자나노융합전공
|
- 담당부서 :
- 교육혁신 및 융합교육팀
- 담당자 :
- 오세원
- 이메일 :
- minse@ssu.ac.kr
- 최종수정일 :
- 2018.03.02